Scene

하루가 저문 밤. 개운하게 씻고 이불 속으로 파고들어가 핸드폰을 열어 곧장 인스타로 향한다. 알고 있다. 메시지를 주고받을 누군가가 존재하지도 않고, 마땅히 올리고 싶은 그 어떤 사진도 나의 앨범에는 없다는 것을. 심지어 인스타를 헤매이다 한두 시간을 훌쩍 보내고 시선으로부터 떼어내듯 핸드폰을 내려놓을 것이라는 사실도.
A night at the close of day. Freshly washed, I burrow beneath the duvet and reach instinctively for my phone, heading straight for Instagram. I know full well: there is no one with whom I might exchange messages, nor does my album contain any photograph I particularly wish to post. I even know that, after wandering aimlessly through Instagram for an hour or two, I shall eventually put the phone down as though prising it from my own gaze.
一日の終わりの夜に。 清らかに身を洗い、布団にくるまると、私は反射的に手を伸ばし、Instagramを開いてしまう。
わかっている。やり取りを交わす相手など誰もいないし、投稿したい写真も特にないことを。
そして、意味もなく画面をさまよい続け、やがて視線を無理やり引きはがすようにしてスマートフォンを置くことになるのも。
그렇게 마주한 내 현실은 적막으로 가득하겠지. 더 이상 이불 속이 포근하지 않으리라는 것도 알고 있다. 밀려오는 자책감과 옅은 두통, 무겁게 가라앉아 버린 마음은 오늘의 잠도 우울하게 만들 것이다.
And then, what greets me is reality, steeped in silence. I already know the duvet will no longer feel comforting. The creeping self-reproach, the faint headache, the heaviness that drags at my spirit—these will cast their gloom over my sleep tonight as well.
すると、迎えてくれるのは沈黙に沈んだ現実。布団のぬくもりも、もはや心を慰めてはくれない。
忍び寄る自己嫌悪、かすかな頭痛、胸の奥に沈む重さ——今夜もまた、それらが眠りを覆うのだ。
나는 어제와 그제와 그그제와 그그그제의 모든 밤을 통해 이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 왜. 도대체 왜 나는 이토록 허겁지겁 소셜미디어로 향하는 것일까.
I have learnt this through every night of yesterday, the day before, and the countless nights before that. And yet, somehow, none of this seems to matter—why? Why on earth do I dash headlong towards social media with such desperate haste?
昨日も、その前の日も、数えきれない夜に渡って、私はこのことを学んできた。
それなのに、どうしてだろう。なぜ私は、あんなにも切実に、慌ただしくSNSへと駆け込むのか。
not SNS - RNS, Record Networking Service

해리 할로우(Harry Harlow)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끼 레서스원숭이들을 어미로부터 떼어 놓았다. 이 작고 여린 새끼 원숭이들은 자신을 사랑해 줄 어미 대신 어미 역할을 대신하는 두 가지 장치와 함께 하게 되었다.
Harry Harlow took infant rhesus monkeys, only a short time after birth, and separated them from their mothers. Instead of being nurtured by a living parent, these fragile little monkeys were given two surrogate “mothers”.
心理学者ハリー・ハーロウは、生まれて間もないアカゲザルの赤子を母親から引き離し、二体の代理母を与えた。
하나는 철사로 엮어 만든 어미 모양의 원숭이였다. 이 장치에서는 젖병을 통해 모유가 나왔다. 다른 장치는 철사를 엮고 그 위에 천을 둘러 어미의 털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대신 젖병은 달지 않았다.
One was a frame of wire shaped like a monkey. From this contraption, milk could be fed through a bottle. The other was also made of wire, but covered with soft cloth so that the infants might feel something akin to their mother’s fur. This cloth mother, however, provided no milk.
一体は金属のワイヤーでできた母ザル。そこからは哺乳瓶でミルクを与えることができた。
もう一体は同じくワイヤー製だが、柔らかな布で覆われ、毛皮のような感触を持っていた。しかしそこからは何も与えられない。
원숭이는 배고플 때만 철사 어미에게로 갔다. 길게는 20시간이 넘도록 천으로 감싼 어미 모형에 꼭 달라붙어 있는 새끼 원숭이도 있었다. 무서운 자극을 마주했을 때에도 이들의 선택은 천으로 감싼 어미였다. 이 잔인한 실험은 심리학 역사에서 애착(Attachment)을 이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The monkeys went to the wire mother only when hungry. At other times—even for as long as twenty hours at a stretch—they clung to the cloth-covered surrogate. When faced with frightening stimuli, they chose the cloth mother as well. This cruel experiment became one of the pivotal moments in the history of psychology in understanding attachment.
小ザルたちは、空腹のときだけ金属の母に近づき、それ以外のときは、二十時間以上にわたって布の母にしがみついていた。
恐怖に直面したときも、彼らは布の母を選んだ。
この残酷な実験は、愛着を理解するうえで心理学史に残る転機となった。
인간은 무리지어 사는 사회적 동물이다. 나는 호랑이를 좋아하지만 호랑이처럼 혼자 살 수 없다. 나무늘보가 팔자 좋다 생각하지만 나무늘보처럼 혼자 살 수 없다. 수리부엉이 혹은 문어처럼 홀로 살 수 없다. 무리 안에서 고독할 수 있지만, 무리 없이 홀로 살 수는 없다.
Human beings, too, are social animals. I may love tigers, yet I cannot live alone like a tiger. I may envy the sloth its easy life, yet I cannot live alone like a sloth. Nor can I live in solitude like an eagle owl or an octopus. One may feel lonely within the group, but one cannot truly live without it.
人間もまた、群れをなす動物である。私は虎を愛するけれど、虎のように孤独には生きられない。
ナマケモノを羨むけれど、ナマケモノのように孤立しては生きられない。
ミミズクやタコのように独りで完結することもできない。
群れの中で孤独を感じることはあっても、群れなしには生きられないのだ。
홀로 있는 조용한 나의 방보다 시끌벅적한 카페를 찾아가 공부하는 이유도, 혼자 여행해도 괜찮은 이유도, 빈 병에 편지를 넣어 망망대해에 띄워 보내는 이유도 우리는 무리 안에 있고 싶기 때문이다. 무리 안에 살고 있다는 그 온기가 우리 인간에게는 중요하다. 그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것이다. 우리는 다만 살기 위해 서로의 온기가 절실하다.
This is why I sometimes seek out a noisy café rather than study in the quiet of my own room; why travelling alone can still feel bearable; why one might place a letter in an empty bottle and cast it adrift upon the vast ocean—because we long to remain within the fold. The warmth of belonging is essential to us as human beings. It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of survival. To live, we desperately need one another’s warmth.
だから私は、ときに自室の静けさよりも、喧噪のカフェを求める。ひとり旅でもまだ耐えられるのはそのためだ。
誰もいない海に手紙を入れた瓶を投げるのも、その温もりを求めているから。
「つながり」のぬくもりは、生きるための必需品であり、生存の条件そのものなのだ。
그 온기는 지금 어디에 있나. 마을도 이웃도 가족도 친구로부터도 잔인하게 떨어져 나온 우리는 온기를 찾아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우리의 어떤 굶주림도 해결해 주지 않지만, 따뜻한 눈길도 손길도 주지 않지만 다만 천으로 감싼 온기를 위해, 우리는 어떤 ‘장치’로 향하고 있는가.
But where, now, is that warmth to be found? Torn cruelly away from village, neighbour, family, even friend, where do we turn in search of it? What “devices” do we cling to—devices that cannot feed our hunger, cannot give us a tender glance or gentle touch—simply because, wrapped in cloth, they offer at least the illusion of warmth?
では、いま私たちはどこにその温もりを探せばいいのだろう。村や隣人、家族や友人さえも遠ざけられてしまったこの時代に。
食欲を満たしてくれるわけでも、優しいまなざしや触れ合いを与えてくれるわけでもない「装置」に、私たちはなぜしがみつくのか。
布に包まれただけの幻のぬくもりを求め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