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어롸이트 airWrite

Scene

하루가 저문 밤. 개운하게 씻고 이불 속으로 파고들어가 핸드폰을 열어 곧장 인스타로 향한다. 알고 있다. 메시지를 주고받을 누군가가 존재하지도 않고, 마땅히 올리고 싶은 그 어떤 사진도 나의 앨범에는 없다는 것을. 심지어 인스타를 헤매이다 한두 시간을 훌쩍 보내고 시선으로부터 떼어내듯 핸드폰을 내려놓을 것이라는 사실도.

A night at the close of day. Freshly washed, I burrow beneath the duvet and reach instinctively for my phone, heading straight for Instagram. I know full well: there is no one with whom I might exchange messages, nor does my album contain any photograph I particularly wish to post. I even know that, after wandering aimlessly through Instagram for an hour or two, I shall eventually put the phone down as though prising it from my own gaze.

一日の終わりの夜に。 清らかに身を洗い、布団にくるまると、私は反射的に手を伸ばし、Instagramを開いてしまう。
わかっている。やり取りを交わす相手など誰もいないし、投稿したい写真も特にないことを。
そして、意味もなく画面をさまよい続け、やがて視線を無理やり引きはがすようにしてスマートフォンを置くことになるのも。

그렇게 마주한 내 현실은 적막으로 가득하겠지. 더 이상 이불 속이 포근하지 않으리라는 것도 알고 있다. 밀려오는 자책감과 옅은 두통, 무겁게 가라앉아 버린 마음은 오늘의 잠도 우울하게 만들 것이다.

And then, what greets me is reality, steeped in silence. I already know the duvet will no longer feel comforting. The creeping self-reproach, the faint headache, the heaviness that drags at my spirit—these will cast their gloom over my sleep tonight as well.

すると、迎えてくれるのは沈黙に沈んだ現実。布団のぬくもりも、もはや心を慰めてはくれない。
忍び寄る自己嫌悪、かすかな頭痛、胸の奥に沈む重さ——今夜もまた、それらが眠りを覆うのだ。

나는 어제와 그제와 그그제와 그그그제의 모든 밤을 통해 이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 왜. 도대체 왜 나는 이토록 허겁지겁 소셜미디어로 향하는 것일까.

I have learnt this through every night of yesterday, the day before, and the countless nights before that. And yet, somehow, none of this seems to matter—why? Why on earth do I dash headlong towards social media with such desperate haste?

昨日も、その前の日も、数えきれない夜に渡って、私はこのことを学んできた。
それなのに、どうしてだろう。なぜ私は、あんなにも切実に、慌ただしくSNSへと駆け込むのか。


not SNS - RNS, Record Networking Service

해리 할로우(Harry Harlow)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끼 레서스원숭이들을 어미로부터 떼어 놓았다. 이 작고 여린 새끼 원숭이들은 자신을 사랑해 줄 어미 대신 어미 역할을 대신하는 두 가지 장치와 함께 하게 되었다.

Harry Harlow took infant rhesus monkeys, only a short time after birth, and separated them from their mothers. Instead of being nurtured by a living parent, these fragile little monkeys were given two surrogate “mothers”.

心理学者ハリー・ハーロウは、生まれて間もないアカゲザルの赤子を母親から引き離し、二体の代理母を与えた。

하나는 철사로 엮어 만든 어미 모양의 원숭이였다. 이 장치에서는 젖병을 통해 모유가 나왔다. 다른 장치는 철사를 엮고 그 위에 천을 둘러 어미의 털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대신 젖병은 달지 않았다.

One was a frame of wire shaped like a monkey. From this contraption, milk could be fed through a bottle. The other was also made of wire, but covered with soft cloth so that the infants might feel something akin to their mother’s fur. This cloth mother, however, provided no milk.

一体は金属のワイヤーでできた母ザル。そこからは哺乳瓶でミルクを与えることができた。
もう一体は同じくワイヤー製だが、柔らかな布で覆われ、毛皮のような感触を持っていた。しかしそこからは何も与えられない。

원숭이는 배고플 때만 철사 어미에게로 갔다. 길게는 20시간이 넘도록 천으로 감싼 어미 모형에 꼭 달라붙어 있는 새끼 원숭이도 있었다. 무서운 자극을 마주했을 때에도 이들의 선택은 천으로 감싼 어미였다. 이 잔인한 실험은 심리학 역사에서 애착(Attachment)을 이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The monkeys went to the wire mother only when hungry. At other times—even for as long as twenty hours at a stretch—they clung to the cloth-covered surrogate. When faced with frightening stimuli, they chose the cloth mother as well. This cruel experiment became one of the pivotal moments in the history of psychology in understanding attachment.

小ザルたちは、空腹のときだけ金属の母に近づき、それ以外のときは、二十時間以上にわたって布の母にしがみついていた。
恐怖に直面したときも、彼らは布の母を選んだ。
この残酷な実験は、愛着を理解するうえで心理学史に残る転機となった。

인간은 무리지어 사는 사회적 동물이다. 나는 호랑이를 좋아하지만 호랑이처럼 혼자 살 수 없다. 나무늘보가 팔자 좋다 생각하지만 나무늘보처럼 혼자 살 수 없다. 수리부엉이 혹은 문어처럼 홀로 살 수 없다. 무리 안에서 고독할 수 있지만, 무리 없이 홀로 살 수는 없다.

Human beings, too, are social animals. I may love tigers, yet I cannot live alone like a tiger. I may envy the sloth its easy life, yet I cannot live alone like a sloth. Nor can I live in solitude like an eagle owl or an octopus. One may feel lonely within the group, but one cannot truly live without it.

人間もまた、群れをなす動物である。私は虎を愛するけれど、虎のように孤独には生きられない。
ナマケモノを羨むけれど、ナマケモノのように孤立しては生きられない。
ミミズクやタコのように独りで完結することもできない。
群れの中で孤独を感じることはあっても、群れなしには生きられないのだ。

홀로 있는 조용한 나의 방보다 시끌벅적한 카페를 찾아가 공부하는 이유도, 혼자 여행해도 괜찮은 이유도, 빈 병에 편지를 넣어 망망대해에 띄워 보내는 이유도 우리는 무리 안에 있고 싶기 때문이다. 무리 안에 살고 있다는 그 온기가 우리 인간에게는 중요하다. 그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것이다. 우리는 다만 살기 위해 서로의 온기가 절실하다.

This is why I sometimes seek out a noisy café rather than study in the quiet of my own room; why travelling alone can still feel bearable; why one might place a letter in an empty bottle and cast it adrift upon the vast ocean—because we long to remain within the fold. The warmth of belonging is essential to us as human beings. It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of survival. To live, we desperately need one another’s warmth.

だから私は、ときに自室の静けさよりも、喧噪のカフェを求める。ひとり旅でもまだ耐えられるのはそのためだ。
誰もいない海に手紙を入れた瓶を投げるのも、その温もりを求めているから。
「つながり」のぬくもりは、生きるための必需品であり、生存の条件そのものなのだ。

그 온기는 지금 어디에 있나. 마을도 이웃도 가족도 친구로부터도 잔인하게 떨어져 나온 우리는 온기를 찾아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우리의 어떤 굶주림도 해결해 주지 않지만, 따뜻한 눈길도 손길도 주지 않지만 다만 천으로 감싼 온기를 위해, 우리는 어떤 ‘장치’로 향하고 있는가.

But where, now, is that warmth to be found? Torn cruelly away from village, neighbour, family, even friend, where do we turn in search of it? What “devices” do we cling to—devices that cannot feed our hunger, cannot give us a tender glance or gentle touch—simply because, wrapped in cloth, they offer at least the illusion of warmth?

では、いま私たちはどこにその温もりを探せばいいのだろう。村や隣人、家族や友人さえも遠ざけられてしまったこの時代に。
食欲を満たしてくれるわけでも、優しいまなざしや触れ合いを与えてくれるわけでもない「装置」に、私たちはなぜしがみつくのか。
布に包まれただけの幻のぬくもりを求めて。

'나'와 연결되었을 때, 비로소 우리는 | When connected with the ‘self’, only then do we truly exist | 自分とつながるとき、初めて私たちは存在する

오랜만에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에는 핸드폰을 들여다보지 않는다.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모르는 사람과 함께하는 저녁 식사 자리는 기대보다 즐겁다. 다시 볼 수 없는 사이이기에 다시 꼭 만나고 싶은 사이가 되니까. 그 순간 나는 나 자체이니까.

When I spend time with loved ones after a long absence, I do not glance at my phone. There is no need. A dinner with strangers proves far more pleasant than expected; because we may never meet again, we become people we would dearly wish to see once more. In those moments I am simply myself.

久しぶりに大切な人と会うとき、私はスマートフォンを見ない。必要がないからだ。
思いがけず初対面の夕食が楽しくなることもある。もう二度と会わないかもしれないからこそ、また会いたいと思える人になる。その瞬間、私はただの私として存在できる。

누군가의 자식으로, 어느 회사의 무엇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사람의 총합 그 이상, 즉 나로 존재할 수 있으니까. 그 순간 나에게 인스타 세상은 필요 없다. 나는 나라는 사람으로 살아 있고 상대도 살아 있으니까.

Not merely as someone’s child, nor as some position within a company, but as the sum of all that I am—and more. In those moments I can exist as me. And so, in that instant, the world of Instagram holds no meaning. I am alive as myself, and so is the other person before me.

誰かの子どもでも、会社の肩書きでもなく、すべてを含んだ自分として。そのとき、Instagramの世界は意味を失う。私は「私」として生き、目の前の相手もまた「その人」として生きている。

우리는 서로의 세상을 대화로 넘나들며 나의 세상보다 우리의 세상이 훨씬 넓고 아름답고 깊다는 사실에 경탄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그렇게 무리지어 사는 인간이라는 동물은 온기를 나누며 산다.

Through conversation we wander into each other’s worlds, marvelling at the joy of discovering that “our” world is wider, lovelier, and deeper than “my” world alone. Thus it is that human beings—creatures who live in groups—sustain themselves by sharing warmth.

会話を通して私たちは互いの世界を旅し、「私」ひとりの世界よりも広く、美しく、深い「私たち」の世界を発見する。人間は群れに生きる存在だからこそ、その温もりを分かち合うことで支え合うのだ。

이십여 년 전 크리스마스이브, 나는 홀로 기숙사에 있었다. 그곳은 낯선 타국이었고 내 방은 지나치게 조용했다. 나는 튕겨져 나가듯 밖으로 향했다. 가장 번화한 거리를 찾아 분주하게 걸었다.

On Christmas Eve some twenty years ago, I was alone in a dormitory. It was a foreign country, and my room was oppressively quiet. As though flung outward, I set off into the night. I walked quickly, searching for the busiest street.

二十年前のクリスマス・イブ、私は留学先の寮でひとりだった。部屋は息苦しいほどに静かで、私は夜の街へ飛び出した。

광고판이 번쩍거리고 크리스마스 장식이 화려한 전구 불빛 아래 모여든 몇몇의 여행객들을 발견하고서야 내 발걸음은 잦아들었다. 양손을 외투 주머니에 푹 찔러 넣고 마치 늦어버린 약속이 있는 사람처럼 한참 동안 그 일대를 걸으며 나는 마음의 허기를 채웠다.

Only when I came across a few travellers gathered beneath the blazing billboards and gaudy Christmas lights did my steps slow. With both hands thrust deep into my coat pockets, I walked that street for a long while, like someone late for an appointment, feeding my hunger of the heart.

人々が集まる大通りを探して、足早に歩いた。まばゆいイルミネーションと巨大な広告の下に旅行者の群れを見つけたとき、ようやく歩みが緩んだ。両手をポケットに突っ込み、私はその通りを、待ち合わせに遅れそうな人のように長い時間歩き続け、心の飢えを満たしていった。

지난 화요일이었다. 열여섯 정도 되어 보이는 교복을 입은 네 명의 소년들이 버스 정류장에 모여 있었다. 서로 몸을 부딪히고 웃고 떠들다 버스 한 대가 세 명의 아이를 싣고 떠났다.

It was last Tuesday. Four boys, school uniforms marking them as about sixteen, were gathered at a bus stop. They shoved each other, laughing, until a bus arrived and took three of them away.

先週の火曜日、制服姿の少年たちが四人、バス停に集まっていた。

はしゃぎ合い、笑い合ううちにバスが来て、三人は去った。

남은 한 아이는 잠시 생각하는 듯싶더니 바지에 찔러 둔 핸드폰을 꺼내어 재빨리 인스타를 열고는 끊임없이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했다. 마치 무언가를 다급히 찾는 사람처럼.

The boy left behind paused, seemed to think for a moment, then pulled a phone from his pocket and swiftly opened Instagram, scrolling endlessly down the screen—as though searching urgently for something.

残されたひとりは一瞬ためらい、それからスマートフォンを取り出し、Instagramを必死にスクロールし始めた。まるで何かを探し求めるように。

거울 앞에서 느리게 외출 준비를 하는 내 모습을 떠올린다. 몇 벌 되지 않지만 아끼는 옷들 사이에서 오늘 날씨에 가장 어울리는 옷을 고른다.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머리를 매만지는 거울 속 내 표정을 떠올린다.

I recall my own reflection, slowly preparing to step out. Among my few cherished clothes I choose what best suits the weather. I picture the expression in the mirror as I adjust my outfit and smooth my hair.

私は自分の姿を思い描く。お気に入りの服の中から天気に合うものを選び、鏡の前で髪を整え、表情をつくる。

두 뺨과 입술에 가득한 생기와 설렘을 그려 본다. 크게 숨을 고르고 문을 나서는 순간을 상상한다. 그렇게 나선 거리에 기분 좋게 온화한 햇살이 쏟아진다. 사실 비가 와도 상관없다. 그건 그 나름대로 괜찮을 테니까.

I imagine the flush of vitality and anticipation across my cheeks and lips. I draw a deep breath, picturing myself stepping through the door. Sunshine, warm and gentle, floods the street outside. And even if it rained, it would be fine in its own way.

頬や唇に差す生命の紅潮を想像し、深呼吸して玄関を出る。街路には陽射しがあふれている。もし雨でも、それなりに悪くない。

거리를 천천히 걷는다. 오가는 사람들의 머리 위로 말풍선이 떠 있다. 누군가는 점심을 무엇으로 먹을지 고민한다. 누군가는 출근길에 자신의 아이가 건넨 예쁜 말을 떠올린다. 고백하지 못한 사랑의 말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고, 버스 너머로 보이는 풍경에 작게 감탄하는 사람도 있다. 책에서 본 기억하고 싶은 문장을 곱씹는 사람도 있다.

I walk slowly along the street. Over the heads of passers-by float invisible speech bubbles. Someone wonders what to eat for lunch. Someone recalls the sweet words of their child on the way to work. Another replays a love-confession never spoken. Someone gives a small sigh of wonder at the scenery beyond the bus window. Another savours a sentence from a book they wish to remember.

通りを歩き、すれ違う人々の頭上に浮かぶ小さな吹き出しを想像する。

昼食を何にしようかと考える人。出勤途中に子どもの言葉を思い返す人。告げられなかった想いを反芻する人。バスの窓の向こうに見える景色に息を呑む人。本の一節を味わう人。

그 수많은 이야기들이, 사소하지만 포근하고 그래서 울림이 있는 이야기들이 내 삶의 어떤 풍경이 된다.

These countless little stories—small, tender, resonant—become part of the landscape of my own life.

そうした数えきれない小さな物語——ささやかで、けれど温かい物語が、私の人生の風景の一部になっていく。

나도 나의 이야기를 머리 위로 띄워 본다. 날이 맑아서 좋다라든지, 내가 입은 옷이 마음에 든다든지, 며칠 후에 만날 누군가 때문에 벌써부터 머리가 지끈하다든지 혹은 기대된다든지. 나에게도 주변의 어느 누구에게도 이렇다 하게 중요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무해하지도 않은, 그저 풍경이 될 어떤 이야기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And I, too, let my own thoughts drift upwards like a balloon: how glad I am for the fine weather; how pleased I feel in the clothes I have chosen; how a meeting in a few days’ time already gives me either a dull headache or a flutter of anticipation. Thoughts not vital to me nor to anyone else nearby, yet not without meaning either—simply stories that settle into the scenery.

私自身もまた、心に浮かぶ思いをそっと空へ放つ。

「今日はなんとなく幸せだな」

そうつぶやけば、誰かが答えるかもしれない。

「不思議と、あなたの言葉で私も気分が軽くなった」

그러다 문득 ‘오늘 이유 없이 기분이 좋네’라고 혼잣말을 하면 지나가던 누군가가 ‘그 말에 저도 기분이 괜히 좋아지네요’라고 건네는 것이다. 어느덧 대화가 된 우리 둘의 혼잣말은 또 다른 누군가가 말을 보태는 순간 모두가 함께하는 독백이 되는 것이다. 기억하고 싶은, 남기고 싶은 문장들은 어느새 대화가 되고 또다른 풍경이 된다.

Then, perhaps, I murmur to myself: “I feel happy for no reason today.” And a passer-by might reply: “Strangely, your words have lifted my mood too.” Our two soliloquies become a conversation. If another joins in, that conversation becomes a shared monologue—something all of us take part in. Phrases we wish to remember, lines we would like to keep, turn into conversation and into another landscape altogether.

二つの独白は会話となり、さらに誰かが加われば「みんなの独白」として共有される。

覚えておきたい一言や、心に残したいフレーズが交わされ、また新しい風景を形づくる。

그렇게 내가 무리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나는 또다시 혼자가 되어도 그다지 두렵지 않은 것이다. 그렇게 한참을 걷다가 홀로 있던 방에 돌아오더라도 나는 적막하다고 느끼는 대신 고요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만하면 나는 꽤 괜찮은 하루였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And when I realise once more that I belong to a group, even solitude ceases to frighten me. Returning at last to my quiet room, I do not feel the weight of silence, but the calm of stillness. I can say to myself: it was, after all, quite a good day.

そのとき、私はまた群れの一員であることを思い出す。すると孤独さえ怖くなくなる。

静かな部屋に帰っても、それは沈黙の重さではなく、静けさの安らぎになる。

「今日も悪くなかった」と自分に言える。

까만 화면을 바라보고 있어도 전혀 우울하지 않은 것이다. 내가 느낀 건 진짜 온기였으니까. 내가 내 자신과 연결되었을 때 느낄 수 있는 온기. 그런 수많은 '나'와 함께 할 때 얻게 되는 온기 말이다.

Even gazing at a black screen, I feel no sadness at all. For what I carry with me is true warmth—the warmth I discover when I am connected with myself, and the warmth that comes from being among the countless other selves with whom I share this life.

黒い画面を見つめても、何の悲しみもない。

なぜなら、私の内には本物の温もりが宿っているからだ。

自分とつながる温もり、そしてこの世界を共に生きる無数の「私たち」とのつながりの温もりが。

오랜만에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에는 핸드폰을 들여다보지 않는다.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모르는 사람과 함께하는 저녁 식사 자리는 기대보다 즐겁다. 다시 볼 수 없는 사이이기에 다시 꼭 만나고 싶은 사이가 되니까. 그 순간 나는 나 자체이니까.

When I spend time with loved ones after a long absence, I do not glance at my phone. There is no need. A dinner with strangers proves far more pleasant than expected; because we may never meet again, we become people we would dearly wish to see once more. In those moments I am simply myself.

久しぶりに大切な人と会うとき、私はスマートフォンを見ない。必要がないからだ。
思いがけず初対面の夕食が楽しくなることもある。もう二度と会わないかもしれないからこそ、また会いたいと思える人になる。その瞬間、私はただの私として存在できる。

누군가의 자식으로, 어느 회사의 무엇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사람의 총합 그 이상, 즉 나로 존재할 수 있으니까. 그 순간 나에게 인스타 세상은 필요 없다. 나는 나라는 사람으로 살아 있고 상대도 살아 있으니까.

Not merely as someone’s child, nor as some position within a company, but as the sum of all that I am—and more. In those moments I can exist as me. And so, in that instant, the world of Instagram holds no meaning. I am alive as myself, and so is the other person before me.

誰かの子どもでも、会社の肩書きでもなく、すべてを含んだ自分として。そのとき、Instagramの世界は意味を失う。私は「私」として生き、目の前の相手もまた「その人」として生きている。

우리는 서로의 세상을 대화로 넘나들며 나의 세상보다 우리의 세상이 훨씬 넓고 아름답고 깊다는 사실에 경탄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그렇게 무리지어 사는 인간이라는 동물은 온기를 나누며 산다.

Through conversation we wander into each other’s worlds, marvelling at the joy of discovering that “our” world is wider, lovelier, and deeper than “my” world alone. Thus it is that human beings—creatures who live in groups—sustain themselves by sharing warmth.

会話を通して私たちは互いの世界を旅し、「私」ひとりの世界よりも広く、美しく、深い「私たち」の世界を発見する。人間は群れに生きる存在だからこそ、その温もりを分かち合うことで支え合うのだ。

이십여 년 전 크리스마스이브, 나는 홀로 기숙사에 있었다. 그곳은 낯선 타국이었고 내 방은 지나치게 조용했다. 나는 튕겨져 나가듯 밖으로 향했다. 가장 번화한 거리를 찾아 분주하게 걸었다.

On Christmas Eve some twenty years ago, I was alone in a dormitory. It was a foreign country, and my room was oppressively quiet. As though flung outward, I set off into the night. I walked quickly, searching for the busiest street.

二十年前のクリスマス・イブ、私は留学先の寮でひとりだった。部屋は息苦しいほどに静かで、私は夜の街へ飛び出した。

광고판이 번쩍거리고 크리스마스 장식이 화려한 전구 불빛 아래 모여든 몇몇의 여행객들을 발견하고서야 내 발걸음은 잦아들었다. 양손을 외투 주머니에 푹 찔러 넣고 마치 늦어버린 약속이 있는 사람처럼 한참 동안 그 일대를 걸으며 나는 마음의 허기를 채웠다.

Only when I came across a few travellers gathered beneath the blazing billboards and gaudy Christmas lights did my steps slow. With both hands thrust deep into my coat pockets, I walked that street for a long while, like someone late for an appointment, feeding my hunger of the heart.

人々が集まる大通りを探して、足早に歩いた。まばゆいイルミネーションと巨大な広告の下に旅行者の群れを見つけたとき、ようやく歩みが緩んだ。両手をポケットに突っ込み、私はその通りを、待ち合わせに遅れそうな人のように長い時間歩き続け、心の飢えを満たしていった。

지난 화요일이었다. 열여섯 정도 되어 보이는 교복을 입은 네 명의 소년들이 버스 정류장에 모여 있었다. 서로 몸을 부딪히고 웃고 떠들다 버스 한 대가 세 명의 아이를 싣고 떠났다.

It was last Tuesday. Four boys, school uniforms marking them as about sixteen, were gathered at a bus stop. They shoved each other, laughing, until a bus arrived and took three of them away.

先週の火曜日、制服姿の少年たちが四人、バス停に集まっていた。

はしゃぎ合い、笑い合ううちにバスが来て、三人は去った。

남은 한 아이는 잠시 생각하는 듯싶더니 바지에 찔러 둔 핸드폰을 꺼내어 재빨리 인스타를 열고는 끊임없이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했다. 마치 무언가를 다급히 찾는 사람처럼.

The boy left behind paused, seemed to think for a moment, then pulled a phone from his pocket and swiftly opened Instagram, scrolling endlessly down the screen—as though searching urgently for something.

残されたひとりは一瞬ためらい、それからスマートフォンを取り出し、Instagramを必死にスクロールし始めた。まるで何かを探し求めるように。

거울 앞에서 느리게 외출 준비를 하는 내 모습을 떠올린다. 몇 벌 되지 않지만 아끼는 옷들 사이에서 오늘 날씨에 가장 어울리는 옷을 고른다.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머리를 매만지는 거울 속 내 표정을 떠올린다.

I recall my own reflection, slowly preparing to step out. Among my few cherished clothes I choose what best suits the weather. I picture the expression in the mirror as I adjust my outfit and smooth my hair.

私は自分の姿を思い描く。お気に入りの服の中から天気に合うものを選び、鏡の前で髪を整え、表情をつくる。

두 뺨과 입술에 가득한 생기와 설렘을 그려 본다. 크게 숨을 고르고 문을 나서는 순간을 상상한다. 그렇게 나선 거리에 기분 좋게 온화한 햇살이 쏟아진다. 사실 비가 와도 상관없다. 그건 그 나름대로 괜찮을 테니까.

I imagine the flush of vitality and anticipation across my cheeks and lips. I draw a deep breath, picturing myself stepping through the door. Sunshine, warm and gentle, floods the street outside. And even if it rained, it would be fine in its own way.

頬や唇に差す生命の紅潮を想像し、深呼吸して玄関を出る。街路には陽射しがあふれている。もし雨でも、それなりに悪くない。

거리를 천천히 걷는다. 오가는 사람들의 머리 위로 말풍선이 떠 있다. 누군가는 점심을 무엇으로 먹을지 고민한다. 누군가는 출근길에 자신의 아이가 건넨 예쁜 말을 떠올린다. 고백하지 못한 사랑의 말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고, 버스 너머로 보이는 풍경에 작게 감탄하는 사람도 있다. 책에서 본 기억하고 싶은 문장을 곱씹는 사람도 있다.

I walk slowly along the street. Over the heads of passers-by float invisible speech bubbles. Someone wonders what to eat for lunch. Someone recalls the sweet words of their child on the way to work. Another replays a love-confession never spoken. Someone gives a small sigh of wonder at the scenery beyond the bus window. Another savours a sentence from a book they wish to remember.

通りを歩き、すれ違う人々の頭上に浮かぶ小さな吹き出しを想像する。

昼食を何にしようかと考える人。出勤途中に子どもの言葉を思い返す人。告げられなかった想いを反芻する人。バスの窓の向こうに見える景色に息を呑む人。本の一節を味わう人。

그 수많은 이야기들이, 사소하지만 포근하고 그래서 울림이 있는 이야기들이 내 삶의 어떤 풍경이 된다.

These countless little stories—small, tender, resonant—become part of the landscape of my own life.

そうした数えきれない小さな物語——ささやかで、けれど温かい物語が、私の人生の風景の一部になっていく。

나도 나의 이야기를 머리 위로 띄워 본다. 날이 맑아서 좋다라든지, 내가 입은 옷이 마음에 든다든지, 며칠 후에 만날 누군가 때문에 벌써부터 머리가 지끈하다든지 혹은 기대된다든지. 나에게도 주변의 어느 누구에게도 이렇다 하게 중요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무해하지도 않은, 그저 풍경이 될 어떤 이야기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And I, too, let my own thoughts drift upwards like a balloon: how glad I am for the fine weather; how pleased I feel in the clothes I have chosen; how a meeting in a few days’ time already gives me either a dull headache or a flutter of anticipation. Thoughts not vital to me nor to anyone else nearby, yet not without meaning either—simply stories that settle into the scenery.

私自身もまた、心に浮かぶ思いをそっと空へ放つ。

「今日はなんとなく幸せだな」

そうつぶやけば、誰かが答えるかもしれない。

「不思議と、あなたの言葉で私も気分が軽くなった」

그러다 문득 ‘오늘 이유 없이 기분이 좋네’라고 혼잣말을 하면 지나가던 누군가가 ‘그 말에 저도 기분이 괜히 좋아지네요’라고 건네는 것이다. 어느덧 대화가 된 우리 둘의 혼잣말은 또 다른 누군가가 말을 보태는 순간 모두가 함께하는 독백이 되는 것이다. 기억하고 싶은, 남기고 싶은 문장들은 어느새 대화가 되고 또다른 풍경이 된다.

Then, perhaps, I murmur to myself: “I feel happy for no reason today.” And a passer-by might reply: “Strangely, your words have lifted my mood too.” Our two soliloquies become a conversation. If another joins in, that conversation becomes a shared monologue—something all of us take part in. Phrases we wish to remember, lines we would like to keep, turn into conversation and into another landscape altogether.

二つの独白は会話となり、さらに誰かが加われば「みんなの独白」として共有される。

覚えておきたい一言や、心に残したいフレーズが交わされ、また新しい風景を形づくる。

그렇게 내가 무리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나는 또다시 혼자가 되어도 그다지 두렵지 않은 것이다. 그렇게 한참을 걷다가 홀로 있던 방에 돌아오더라도 나는 적막하다고 느끼는 대신 고요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만하면 나는 꽤 괜찮은 하루였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And when I realise once more that I belong to a group, even solitude ceases to frighten me. Returning at last to my quiet room, I do not feel the weight of silence, but the calm of stillness. I can say to myself: it was, after all, quite a good day.

そのとき、私はまた群れの一員であることを思い出す。すると孤独さえ怖くなくなる。

静かな部屋に帰っても、それは沈黙の重さではなく、静けさの安らぎになる。

「今日も悪くなかった」と自分に言える。

까만 화면을 바라보고 있어도 전혀 우울하지 않은 것이다. 내가 느낀 건 진짜 온기였으니까. 내가 내 자신과 연결되었을 때 느낄 수 있는 온기. 그런 수많은 '나'와 함께 할 때 얻게 되는 온기 말이다.

Even gazing at a black screen, I feel no sadness at all. For what I carry with me is true warmth—the warmth I discover when I am connected with myself, and the warmth that comes from being among the countless other selves with whom I share this life.

黒い画面を見つめても、何の悲しみもない。

なぜなら、私の内には本物の温もりが宿っているからだ。

自分とつながる温もり、そしてこの世界を共に生きる無数の「私たち」とのつながりの温もりが。

Abstract image

contact us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Abstract image

Let’s
Connect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Abstract image

contact us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