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ene

영화 <비포 선라이즈, Before Sunrise>의 엔딩 크레딧 장면을 좋아한다. 제시와 셀린, 그리고 그들의 우연한 인연들이 함께 있던 공간을, 지금은 비어있는 그 공간을 차례차례 비추는 그 장면말이다. 두 연인의 꿈 같은 하루를 지켜본 나에게도 그 공간은 이제 의미가 생겼으니까.

I love the closing credit sequence of Before Sunrise. One by one, the camera lingers on the places where Jesse and Céline once were—their fleeting encounters now gone, leaving those spaces empty. Yet, for me, who witnessed their dreamlike day, those places have acquired meaning.

私は映画『ビフォア・サンライズ Before Sunrise』の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の場面が好きです。
ジェシーとセリーヌ、そして二人の偶然の出会いが刻まれた空間を、今はもう誰もいないその場所を、カメラが一つずつ映し出していく——あのシーンです。
夢のような一日を見守った私にとっても、その場所はすでに特別な意味を帯びているのです。

<Before Sunrise>, from ending credit scene<Before Sunrise>, from ending credit scene

이야기가 쌓일 때,

카페에 자리를 잡고 앉으면 이전에 머물렀던 사람들에 대해 상상해 본다. 연인이었을까, 친구였을까, 혼자였을까. 어떤 이야기를 나눴을까. 언젠가 나도 만날 수 있는 사람일까, 아마도 아니겠지 - 그런데 만약 만날 수 있다면, 그건 어떤 느낌일까. 세상 쓸데없는 호기심이지만 원래 쓸데없는 것이 재미있는 법. 

When I sit in a café, I often imagine the people who were there before me. Were they lovers? Friends? Alone? What conversations did they share? Might they be someone I could one day meet? Probably not—but what if I did? What would that feel like? A useless curiosity, perhaps—but it is often the useless things that are the most delightful.

カフェに腰を下ろすと、私はよく想像します。
ここに座っていたのは恋人たちだったのか、友人同士だったのか、それとも一人だったのか。
どんな会話を交わしていたのだろう。いつか自分が出会う人だったかもしれない。きっとそんなことはないのでしょう。
けれど、もし出会えたとしたら、どんな気持ちになるのだろう。
役に立たない想像かもしれません。でも、役に立たないことほど楽しいものはありません。

그래서 상상을 현실로 옮겨보기로 했다. 장소는 북촌으로 정했다. 3개의 경험을 심어놓았다. 먼저 북촌 어느 곳에서든 에어롸이트(airWrite)로 글을 쓰면 북촌 기와 스티커가 달리도록 했다

So I decided to bring this imagination into reality. The chosen place was Bukchon. I designed three layers of experience.
First, whenever someone writes with airWrite anywhere in Bukchon, their words would be marked with a Bukchon tile sticker.

そこで私は、この想像を現実にしてみることにしました。場所に選んだのは北村です。三つの体験を仕掛けました。
ひとつ目に、 北村のどこであっても airWrite で文章を書けば、「北村の瓦ステッカー」が添えられるようにしました。

둘째, 북촌의 특정 좌표에서 글을 쓰면 특별한 스티커가 붙도록 만들었다. 예를 들면 헌법재판소 앞이라든지, 재동초등학교 담벼락이라든지 북촌의 어느 골목길 등등

Second, if one writes at certain coordinates within Bukchon—say, in fro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long the wall of Jaedong Elementary School, or down one of the narrow alleyways—a special sticker would appear.

ふたつ目に、 北村の特定の座標——たとえば憲法裁判所の前、才洞小学校の塀沿い、あるいは細い路地の奥など——で書けば、特別なステッカーが現れるようにしました。

셋째, 이야기가 쌓이기에 알맞은 카페와 식당을 찾았다. 이곳이라면 어떤 이야기들이 쌓이겠다는 상상이 되는 그런 곳들 말이다. 그리고 그곳만을 위한 아트포스터를 만들었다. 아트포스터 한가운데를 카메라로 스캔하면 그 장소에 글을 남겨두거나, 그곳에 남겨둔 글을 읽을 수 있도록 에어롸이트를 활용했다. 처음에 북촌을 돌며 제안을 드렸을 땐 대부분 사장님들이 거절하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곳의 사장님들께서는 포스터 설치를 허락해 주셨다. 프로젝트를 재밌고 흥미롭게 적극적으로 함께 해 주시는 감사한 인연들도 만났다.

Third, I sought out cafés and restaurants well suited for stories to gather—places that felt as though conversations were meant to take root there. For each of these I designed a unique art poster. By scanning the centre of the poster with a phone camera, people could leave a story at that spot or read the ones left behind, using airWrite. At first, most of the owners I approached turned me down. Yet five of them allowed the posters to be installed. I also met generous collaborators who joined the project with enthusiasm and a playful spirit.

みっつ目に、 物語が自然と積み重なりそうなカフェや食堂を探しました。ここなら会話が根づいていくだろう、そんな場所です。
そして、それぞれの場所のためにアートポスターを制作しました。ポスターの中央をスマートフォンで読み取ると、その場所に物語を残したり、そこに残された言葉を読む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たのです。
最初に北村を回って提案したときは、多くのお店に断られました。けれども五軒の店主が設置を許してくれました。そして、この試みを面白がり、遊び心をもって積極的に参加してくれるありがたい仲間にも出会いました。

수많은 거절 끝에 만난 승낙이라 가게마다 특색을 담아 그곳만을 위한 아트포스터를 만들고 테이블에 붙여놓을 가게만의 스캔코드를 작업했다.

Because the permissions came after many refusals, I made sure that each shop received its own distinctive poster, tailored to the atmosphere of the place, complete with a custom QR code for its tables.

数えきれないほどの拒絶のあとに得られた承諾だったからこそ、各店舗に合わせて雰囲気の異なるポスターをデザインし、その店専用のQRコードもテーブルに添えました。


장소는 특별해진다.

북촌 프로젝트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열광적이진 않았다. 왜냐면 잘 모르니 말이다. 아트포스터에 숨은 기능이 있을 거라고 상상을 미처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쩌다 간간히 누군가가 남겨두는 이야기에 우리의 마음은 얼마나 따뜻해졌는지. 특히 적극적으로 함께 해 주셨던 세 곳에서는 낯선 이가 자신이 머문 자리에 이야기를 두고 가는 경우가 제법 되었다. 친구와의 우정을 약속하거나, 한국으로의 여행을 기념하거나, 헤어진 연인을 그리워하는 글도 있었다. 그들 덕분에 북촌은 우리에게 더욱 특별한 공간이 되었다. 얼굴을 본 적은 없지만 글로 만난 그들에게도 북촌이 특별해졌겠지 - 그렇게 생각하면 북촌 프로젝트는 성공이다.

The response to the Bukchon Project was not exactly fervent—mostly because people did not know what it was. Many never imagined that an art poster might hide such a function. Even so, whenever a story was unexpectedly left behind, our hearts grew warm. In three of the cafés especially, strangers often left notes in the very spots where they had sat. Some pledged friendship, some marked their travels in Korea, others wrote of lovers they had lost. Thanks to them, Bukchon became more special to us—and, I believe, to those who encountered it in writing, though we never saw their faces. In that sense, the Bukchon Project was a success.

北村プロジェクトの反応は決して熱狂的なもの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多くの人が、それが何であるのか気づかなかったからです。アートポスターにそんな仕掛けがあるとは、想像もされなかったのでしょう。
それでも、思いがけず誰かが物語を残していくたびに、私たちの心は温かくなりました。とりわけ三つのカフェでは、見知らぬ人々が自分の座った席に言葉を残していくことがありました。友情を誓う人もいれば、韓国への旅を記念する人も、別れた恋人を想い綴る人もいました。
彼らのおかげで北村は、私たちにとってより特別な空間となり、顔を知らぬ彼らにとっても、きっと特別な場所になったはずです。そう思うと、この北村プロジェクトは成功だったといえるでしょう。


지금 북촌에서의 프로젝트는 끝났지만 북촌에서 글을 쓰면 여전히 기와가 달린다. 숨은 좌표도 여전히 살아있다. 함께 해 주셨던 다섯 곳의 가게에는 작은 기념품 제작하여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포스터를 거두었다.

Though the project has now ended, in Bukchon your words still carry a roof tile sticker, and the hidden coordinates still respond. To thank the five shops that supported us, we made small keepsakes for them and removed the posters.

今、北村でのプロジェクトは終わりました。それでも北村で書かれた言葉には今も瓦ステッカーがつき、隠された座標も生きています。協力してくださった五つのお店には小さな記念品をお渡しし、ポスターは下げました。

언젠가 또 다시 다른 곳에서 프로젝트를 하고 싶다. 장소가 갖는 유일무이함을 우리는 여전히 사랑하니까. 

One day, we would love to create another such project elsewhere. For we still cherish the unrepeatable uniqueness that only a place can hold.

いつかまた、別の場所で同じようなプロジェクトを実現したいと願っています。
なぜなら、場所だけが持つ「一度きりの唯一性」を、私たちは今も深く愛しているからです。

북촌 프로젝트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열광적이진 않았다. 왜냐면 잘 모르니 말이다. 아트포스터에 숨은 기능이 있을 거라고 상상을 미처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쩌다 간간히 누군가가 남겨두는 이야기에 우리의 마음은 얼마나 따뜻해졌는지. 특히 적극적으로 함께 해 주셨던 세 곳에서는 낯선 이가 자신이 머문 자리에 이야기를 두고 가는 경우가 제법 되었다. 친구와의 우정을 약속하거나, 한국으로의 여행을 기념하거나, 헤어진 연인을 그리워하는 글도 있었다. 그들 덕분에 북촌은 우리에게 더욱 특별한 공간이 되었다. 얼굴을 본 적은 없지만 글로 만난 그들에게도 북촌이 특별해졌겠지 - 그렇게 생각하면 북촌 프로젝트는 성공이다.

The response to the Bukchon Project was not exactly fervent—mostly because people did not know what it was. Many never imagined that an art poster might hide such a function. Even so, whenever a story was unexpectedly left behind, our hearts grew warm. In three of the cafés especially, strangers often left notes in the very spots where they had sat. Some pledged friendship, some marked their travels in Korea, others wrote of lovers they had lost. Thanks to them, Bukchon became more special to us—and, I believe, to those who encountered it in writing, though we never saw their faces. In that sense, the Bukchon Project was a success.

北村プロジェクトの反応は決して熱狂的なもの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多くの人が、それが何であるのか気づかなかったからです。アートポスターにそんな仕掛けがあるとは、想像もされなかったのでしょう。
それでも、思いがけず誰かが物語を残していくたびに、私たちの心は温かくなりました。とりわけ三つのカフェでは、見知らぬ人々が自分の座った席に言葉を残していくことがありました。友情を誓う人もいれば、韓国への旅を記念する人も、別れた恋人を想い綴る人もいました。
彼らのおかげで北村は、私たちにとってより特別な空間となり、顔を知らぬ彼らにとっても、きっと特別な場所になったはずです。そう思うと、この北村プロジェクトは成功だったといえるでしょう。


지금 북촌에서의 프로젝트는 끝났지만 북촌에서 글을 쓰면 여전히 기와가 달린다. 숨은 좌표도 여전히 살아있다. 함께 해 주셨던 다섯 곳의 가게에는 작은 기념품 제작하여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포스터를 거두었다.

Though the project has now ended, in Bukchon your words still carry a roof tile sticker, and the hidden coordinates still respond. To thank the five shops that supported us, we made small keepsakes for them and removed the posters.

今、北村でのプロジェクトは終わりました。それでも北村で書かれた言葉には今も瓦ステッカーがつき、隠された座標も生きています。協力してくださった五つのお店には小さな記念品をお渡しし、ポスターは下げました。

언젠가 또 다시 다른 곳에서 프로젝트를 하고 싶다. 장소가 갖는 유일무이함을 우리는 여전히 사랑하니까. 

One day, we would love to create another such project elsewhere. For we still cherish the unrepeatable uniqueness that only a place can hold.

いつかまた、別の場所で同じようなプロジェクトを実現したいと願っています。
なぜなら、場所だけが持つ「一度きりの唯一性」を、私たちは今も深く愛しているからです。

Abstract image

contact us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Abstract image

Let’s
Connect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Abstract image

contact us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