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생초록 InSaengChoRoc

Scene

태어난 날부터 오늘까지 선을 그으면 된다. 그게 전부다 - 살아온 날들을 선으로 긋는 반복행위.

The method of using this tool is straightforward. From the day you were born up to the present, you simply draw a line for each day lived.

この道具の使い方はとてもシンプルです。生まれた日から今日まで過ごしてきた日々を、一本一本の線で描いていきます。

One square represents a week, and a single line represents a day. Seven lines complete a square. For the twenty-ninth, thirtieth and thirty-first of each month, you will notice the lines between the squares—that is where you place your lines.

角いマスが1週間、線1本が1日を意味します。四角いマスの中に7本の線を描いてください。毎月29日、30日、31日は、四角いマスと四角いマスの間の線が見えますよね?そこに描いてください。

인생초록: 한눈에 그리는 100년 내 인생 | InSaengChoRoc: Lines from Life: Life Visualization Stationery

‘나 지금까지 며칠 살았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이야 검색 한 번으로 바로 해결 가능하지. 찾아 보니 15,000일도 넘는 단다 - 뭐가 이렇게 많지, 괜히 서럽게. 그나저나 많다는 건 알겠는데 숫자의 정도가 가늠이 되질 않는다. 실감나지 않았다고 해야 하나. 그러자 새로운 질문이 고개를 든다.

‘지금까지 산 날들을 선으로 그으면 얼만큼 쌓이려나.’

영화 속 무인도나 감옥에 갇힌 사람이 예외없이 하는 그것 - 살아온 날을 선으로 긋는 그 단순하고 반복적인 행위.

나도 해 보지, 뭐.

그렇게 가벼운 마음으로 - 앞으로 마주할 감정이 무엇일지는 상상도 못한 채 - 그저 시간이나 보낼 요량으로 방안지 노트를 꺼내들었다.

먼저 노트 왼편 세로줄에는 태어난 연도부터 내가 100세가 되는 연도까지 써 내려갔다. 각 행마다 오른편으로 52개의 칸을 만들었다. 1년을 의미하는 것이다. 방안지 네모 한 칸마다 일곱 개의 선을 채우기로 했다. 선 하나가 하루인 것이다. 간단하게 표를 만들고 선을 그어나가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자 손가락도 저리고, 손목도, 어깨도 뻐근해졌다. 이걸 왜 시작했지. 그런데 멈출 수 없었다. 단순한 반복이 주는 평온함도 있었지만, 내 기억이 존재하는 시절에 접어든 후부터는 선 하나를 그을 때마다 그 시절이 생생하게 떠올랐기 때문이다.

1992년도를 그어나갈 때는 열 한 살 그 여름의 놀이터를, 2001년을 그어나갈 때는 3월의 그 맥주집을 떠올렸다. 그렇게 모든 기억을 건너 오늘에 이르자 마침내 선 긋기가 끝났다. 그리고 눈 앞에 빼곡하게 펼쳐진 그 선들. 그 장면을 마주한 순간, 나는 내 인생이 이전과 같지 않으리라는 것을, 좀더 정확히 말하면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 걸 강렬하게 깨달았다. 거부할 수 없는 진실을 마주한 사람이 그러하듯 거대한 감정이 한꺼번에 달겨드는 것 같았다. 그리고 머릿 속에 떠오른 단 하나의 문장.

‘그냥 살아왔다는 거…. 그게 대단한 거였네.’

그랬다. 나는 보통의 사람과 보통의 인생이 늘 위대한 것이라 생각해 왔다. 이 믿음의 시작은 아마도 나의 할머니일 것이다. 빨래비누로 세수를 해도 피부가 그리 곱던 할머니. 목을 가다듬고 이야기를 시작하면 집 앞 평상으로 하나둘 사람이 모여들던 할머니의 이야기. “500원짜리는 주우면 죄가 되지만 10원짜리는 줍지 않으면 죄”라며 허리를 숙여 흙투성이 10원짜리를 주워 내게 건네주던 할머니의 손. 할머니의 옛 이야기를 골똘히 듣는 내 얼굴을 손으로 쓱쓱 쓸어 주며 웃어 주던 할머니의 얼굴. 가끔 낯선 서울 땅에 선 할머니는 다른 사람들의 눈엔 반짝이는 비즈 장식의 자주빛 가디건 입은 그저 보통 할머니였겠지만 할머니 인생의 몇 장면들을 알고 있는 나에게는 영화 속 주인공이었다. 손가락 한 마디를 잘라 마을 사람들의 무고함을 알리고, 대학은 근처에도 못 가봤지만 대학나와 젠체하는 남자들을 말로 제압했으며, 영어 한 자락 못하면서 미군 군수물자를 상대로 사업을 벌인 여장부였다.

우리가 어떤 사람의 생에 놓인 이야기를 알게 되는 순간, 삶은 특별하며 고로 모든 보통의 삶은 위대하다.



방안지 한 바닥을 빼곡하게 채운 선들은 살아온 날들은 이 위대함에 대한 나의 확신, 그 위대함자체에 대한 실재였다. 선 하나하나에 깃든 삶의 이야기. 그리고 시선을 꽉 채운 그 많은 날들은 그저 살아왔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임을 강하게 말해주었다. 

나는 나의 사랑하는 이들도, 지하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르는 저 무표정의 젊은 여자도, 연신 부채질을 하며 찡그린 표정으로 앉아 있는 늦은 중년의 아저씨도, 손을 잡고 길을 걷는 싱그러운 연인들도, 품 안의 아이를 달래며 지하철에 오르는 젊은 엄마도 모두. 세상 모두가 이 감정을 느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라이프로그는 이러한 연유로 태어났다.

그러나 단순하고 명료한 생김과 달리 라이프로그가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애플이 이미 증명했듯 단순하고 명료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그것은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라이프로그는 누군가의 인생을 고스란히 담는 도구이기에 반드시 아름다워야했다. 

아름다움은 화려함과 다르다.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란 갈고 닦아 자연스러워지는 것이다. 예컨대 연필이 아름다운 이유는 연필을 쥐었을 때 손에 감기는 육각형의 편안함, 흑연의 강도와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사각거리는 마찰음과 그 과정에서 느껴지는 질감, 깎을 때 스치듯 풍기는 나무 내음, 단면에 새겨진 글자들의 생김새와 색깔이 아름다울 수 있는 이유는 그 연필을 만든 이의 집요한 물음과 답들 덕분이다. 

이렇게 갈고 닦아 만들어진 것들을 쓰게 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물건의 무엇이 좋은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런 아름다움이란 감각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러움이란 그런 것이니까. 자연스러움에 발을 들이는 순간 우리는 그저 느낄 뿐이니까. 

라이프로그 내지는 1888년 이탈리아 베로나에서 설립된 137년 전통의 페드리고니(Fedrigoni) 사의 FSC 인증 무코팅 고급 인쇄용지를 사용했다. 페드리고니는 유로화 지폐용 종이를 제조하는 극소수 회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종이로 정하기까지의 과정은 녹록치 않았다. ‘실재하는 삶’을 손으로 느끼기 위해 필요한 명료한 질감과 알맞은 두께. 섬유와 종이 그 사이 어디쯤인듯한 따뜻한 촉감. 연필이든 펜이든 다양한 필기구를 끌어안는 포용성. 이 모든 것을 위해 우리는 수없이 많은 종이를 만지고, 쓰다듬고, 스치고, 부볐다.

세상에는 수많은 종이가 있을테지만, 단연코 지금껏 만난 종이 중 인생을 한데 담아내기에 이 종이는 완벽하다.

라이프로그의 또 다른 종이는 라이프로그의 패키지이자 보관 케이스인 크라프트지다. 독일어로 ‘힘’을 뜻하는 Kraft에서 유래된 이름처럼, 강도와 내구성 면에서 뛰어난 크라프트 종이. 그래서 패키지와 보관 케이스로 적합하다. 그러나 이 이유만으로 크라프트를 선택한 것은 아니다. 재단되기 전에 보았던 이 크라프트 종이는 흡사 얇게 켠 나무같았다. 원목으로 만든 오래되어 부드러워진 책상을 만지는 느낌이었다. 라이프로그는 평생 곁에 둘 삶의 오브제여야 하기에, 만질 때마다 감촉이 좋고 지루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봐도 봐도 질리지 않는 것은 자연뿐이리라. 이 종이는 정말 나무같았고, 아끼는 책상 같았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분명 삶을 담은 이 도구를 꾸미고 싶어할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크라프트 종이가 다양한 색에 담긴 취향을 잘 담아낼 것이라 생각했다. 나무를 닮은 이 종이는 마치 나무가 그러하듯 봄의 여린 초록도, 여름의 싱그러운 짙은 녹음도, 단풍의 알록달록함과 겨울의 하얗고 까만 하늘도 모두 잘 받아낼테니 말이다. 

아름다움을 이야기함에 있어 비례가 빠질 수 없다. 사실 비례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소재가 아무리 훌륭해도 비례가 어색하면 소재가 가진 강점에 집중할 수 없다. 라이프로그는 인생이므로, 한 손에 쥐었을 때는 꽉 찬 느낌으로, 두 손으로 쥐었을 땐 소중한 것을 받아 든 듯한 비례여야 했다. 이는 오로지 감각의 영역이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종이의 평량, 질감이 더해주는 무게의 가중치를 고려해 가며 1mm 단위로 줄이고 늘이기를 반복해 가며 정확한 감각의 지점을 찾아야만 했다. 

옷을 입어봐야 이 옷이 얼마나 많은 고민 끝에 이토록 흐르는듯한 실루엣을 갖게 되었는지 느낄 수 있고, 아이폰 상자를 열어봐야 그들이 그토록 말하는 만남의 리츄얼이 얼마나 강렬한 경험인지 알게 된다. 우리는 다만 당신이 감각할 수 있는 의식과 무의식의 모든 영역을 집요하게 설계하는 것 - 그 경험으로 가는 여정을 설계하는 것 뿐이다. 

살아온 날들을 선으로 긋고, 그 수많은 날들을 시각적으로 마주하고, 어디쯤에서 내 삶이 끝이날지를 헤아려 보는 경험을 선사하는 것. 살아왔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위대하다는 것을 온 마음으로 느끼는 것 - 그것을 쓸모라 말한다면 라이프로그는 분명한 쓸모가 있다.

방안지 한 바닥을 빼곡하게 채운 선들은 살아온 날들은 이 위대함에 대한 나의 확신, 그 위대함자체에 대한 실재였다. 선 하나하나에 깃든 삶의 이야기. 그리고 시선을 꽉 채운 그 많은 날들은 그저 살아왔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임을 강하게 말해주었다. 

나는 나의 사랑하는 이들도, 지하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르는 저 무표정의 젊은 여자도, 연신 부채질을 하며 찡그린 표정으로 앉아 있는 늦은 중년의 아저씨도, 손을 잡고 길을 걷는 싱그러운 연인들도, 품 안의 아이를 달래며 지하철에 오르는 젊은 엄마도 모두. 세상 모두가 이 감정을 느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라이프로그는 이러한 연유로 태어났다.

그러나 단순하고 명료한 생김과 달리 라이프로그가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애플이 이미 증명했듯 단순하고 명료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그것은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라이프로그는 누군가의 인생을 고스란히 담는 도구이기에 반드시 아름다워야했다. 

아름다움은 화려함과 다르다.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란 갈고 닦아 자연스러워지는 것이다. 예컨대 연필이 아름다운 이유는 연필을 쥐었을 때 손에 감기는 육각형의 편안함, 흑연의 강도와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사각거리는 마찰음과 그 과정에서 느껴지는 질감, 깎을 때 스치듯 풍기는 나무 내음, 단면에 새겨진 글자들의 생김새와 색깔이 아름다울 수 있는 이유는 그 연필을 만든 이의 집요한 물음과 답들 덕분이다. 

이렇게 갈고 닦아 만들어진 것들을 쓰게 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물건의 무엇이 좋은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런 아름다움이란 감각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러움이란 그런 것이니까. 자연스러움에 발을 들이는 순간 우리는 그저 느낄 뿐이니까. 

라이프로그 내지는 1888년 이탈리아 베로나에서 설립된 137년 전통의 페드리고니(Fedrigoni) 사의 FSC 인증 무코팅 고급 인쇄용지를 사용했다. 페드리고니는 유로화 지폐용 종이를 제조하는 극소수 회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종이로 정하기까지의 과정은 녹록치 않았다. ‘실재하는 삶’을 손으로 느끼기 위해 필요한 명료한 질감과 알맞은 두께. 섬유와 종이 그 사이 어디쯤인듯한 따뜻한 촉감. 연필이든 펜이든 다양한 필기구를 끌어안는 포용성. 이 모든 것을 위해 우리는 수없이 많은 종이를 만지고, 쓰다듬고, 스치고, 부볐다.

세상에는 수많은 종이가 있을테지만, 단연코 지금껏 만난 종이 중 인생을 한데 담아내기에 이 종이는 완벽하다.

라이프로그의 또 다른 종이는 라이프로그의 패키지이자 보관 케이스인 크라프트지다. 독일어로 ‘힘’을 뜻하는 Kraft에서 유래된 이름처럼, 강도와 내구성 면에서 뛰어난 크라프트 종이. 그래서 패키지와 보관 케이스로 적합하다. 그러나 이 이유만으로 크라프트를 선택한 것은 아니다. 재단되기 전에 보았던 이 크라프트 종이는 흡사 얇게 켠 나무같았다. 원목으로 만든 오래되어 부드러워진 책상을 만지는 느낌이었다. 라이프로그는 평생 곁에 둘 삶의 오브제여야 하기에, 만질 때마다 감촉이 좋고 지루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봐도 봐도 질리지 않는 것은 자연뿐이리라. 이 종이는 정말 나무같았고, 아끼는 책상 같았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분명 삶을 담은 이 도구를 꾸미고 싶어할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크라프트 종이가 다양한 색에 담긴 취향을 잘 담아낼 것이라 생각했다. 나무를 닮은 이 종이는 마치 나무가 그러하듯 봄의 여린 초록도, 여름의 싱그러운 짙은 녹음도, 단풍의 알록달록함과 겨울의 하얗고 까만 하늘도 모두 잘 받아낼테니 말이다. 

아름다움을 이야기함에 있어 비례가 빠질 수 없다. 사실 비례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소재가 아무리 훌륭해도 비례가 어색하면 소재가 가진 강점에 집중할 수 없다. 라이프로그는 인생이므로, 한 손에 쥐었을 때는 꽉 찬 느낌으로, 두 손으로 쥐었을 땐 소중한 것을 받아 든 듯한 비례여야 했다. 이는 오로지 감각의 영역이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종이의 평량, 질감이 더해주는 무게의 가중치를 고려해 가며 1mm 단위로 줄이고 늘이기를 반복해 가며 정확한 감각의 지점을 찾아야만 했다. 

옷을 입어봐야 이 옷이 얼마나 많은 고민 끝에 이토록 흐르는듯한 실루엣을 갖게 되었는지 느낄 수 있고, 아이폰 상자를 열어봐야 그들이 그토록 말하는 만남의 리츄얼이 얼마나 강렬한 경험인지 알게 된다. 우리는 다만 당신이 감각할 수 있는 의식과 무의식의 모든 영역을 집요하게 설계하는 것 - 그 경험으로 가는 여정을 설계하는 것 뿐이다. 

살아온 날들을 선으로 긋고, 그 수많은 날들을 시각적으로 마주하고, 어디쯤에서 내 삶이 끝이날지를 헤아려 보는 경험을 선사하는 것. 살아왔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위대하다는 것을 온 마음으로 느끼는 것 - 그것을 쓸모라 말한다면 라이프로그는 분명한 쓸모가 있다.

Abstract image

contact us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Abstract image

Let’s
Connect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Abstract image

contact us

Mail:

hello@bon-soung-aa.com

Location:

Seoul, South Korea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

836 ho, 4-1, Yeonmujang 13-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2025 bon-soung-aa Inc. All rights reserved.